본문 바로가기
떠너스의 이것저것

2025년 장마 시작 시기부터 피해 예방법까지! 지역별 강수량·장마기간 총정리

by 이것저것 리뷰세상 2025. 6.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매년 여름철이면 찾아오는 장마에 대해 자세하게 안내드리려고 합니다. 특히 올해인 2025년 장마는 예년보다 조금 이르게 시작될 가능성이 크고, 강수량 또한 다소 많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장마는 단순히 비가 많이 오는 시기가 아니라, 폭우, 침수, 산사태, 농작물 피해 등 다양한 위험을 동반하는 자연현상이기 때문에 사전 정보 숙지는 매우 중요합니다.


🌧️ 2025년 장마 시작 시기 및 종료일은?

 

  • 제주도: 6월 12~19일경 시작 (평년보다 1주일 이상 앞당겨짐)
  • 남부권(전남·경남·부산·광주): 6월 13~23일 시작
  • 중부권(서울·경기·충청): 6월 20~25일경 장마 전선 도달 
  • 전국 종료 예상: 7월 하순(중부/남부 7월 24~26일경 종료) 

 

기상청 및 민간 기상 전문업체들의 종합 예측에 따르면, 올해 장마는 제주도 지역을 기준으로 6월 12일~19일 사이에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평년보다 일주일 정도 빠른 시기이며, 남부 지방 역시 6월 13일에서 23일 사이에 장마 전선이 머무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서울·경기·충청 등 중부지방의 장마 시작 시기는 6월 20일~25일경으로 예보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는 7월 24~26일경 종료될 것으로 보입니다.
장마가 시작되면 평균적으로 17일에서 18일간 비가 내리는 날이 이어지며, 이 기간 동안 집중호우가 한두 차례 이상 발생할 수 있으니 항상 주의가 필요합니다.


📊 지역별 예상 강수량은 얼마나 될까?

2025년 장마철에는 전국 평균 340~380mm 수준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 제주도는 평균 350mm 내외의 강수량이,
  • 남부권(전남, 경남, 부산, 광주 등)은 약 341mm 정도의 강수량이,
  • 중부권(서울, 경기, 충청 지역)은 상대적으로 조금 많은 378mm 전후의 강수량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올해는 특히 국지성 집중호우, 즉 짧은 시간에 좁은 지역에 매우 많은 비가 내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현상은 하천 범람, 도심 침수, 산사태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비 오는 날에는 항상 기상 예보와 특보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상청 전망에 따른 주요 기후 특이점

기상청은 6월과 7월 강수량이 평년 대비 많을 확률이 40~50%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시간당 30~100mm 수준의 집중호우가 예고되고 있으며, 기온 상승과 함께 형성되는 열대 저기압이 장마전선과 결합할 경우, 태풍의 영향까지 동반될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올해 상반기부터 이어진 엘니뇨의 약화 및 라니냐 전환 가능성 또한 기후 패턴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2025년 장마는 한마디로 '불확실성과 극단성'이 특징인 해가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 장마철 대비를 위한 피해 예방 방법

장마는 단순히 우산만 챙긴다고 대비할 수 있는 계절이 아닙니다. 아래와 같은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1. 배수로, 하수구 점검: 집 주변 배수구가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낙엽이나 쓰레기는 제거해 주세요.
  2. 침수 취약 지역 사전 대응: 저지대, 지하주차장, 반지하 주택 등에 거주하신다면 모래주머니나 방수벽 설치가 필요합니다.
  3. 농작물 보호: 농작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비닐하우스 보강, 배수로 정비, 지주대 보완 등 선제 조치가 필수입니다.
  4. 산사태 위험 지역 피하기: 장마철에는 산 근처를 가능한 한 피하고, 산사태 위험 지역에 거주 중이라면 대피 계획을 사전에 세워 두세요.
  5. 기상특보 수시 확인: 호우주의보, 경보, 태풍주의보 등은 기상청 앱이나 포털 알림으로 실시간 확인해 주세요.

🏠 장마철 실생활 꿀팁

  • 실내 습도 관리: 제습기를 활용하거나 오전에 창문을 짧게 열어 환기해 주세요. 실내 습도를 50~60%로 유지하는 것이 곰팡이 방지에 도움이 됩니다.
  • 빨래 건조법: 건조기가 없다면, 수건을 같이 널어 습도를 흡수하거나 선풍기를 활용해 공기를 순환시켜주세요.
  • 비상용품 준비: 손전등, 건전지, 생수, 간편식, 소형 충전기 등 비상 키트를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장마철 외출 시: 미끄러지지 않는 방수 신발, 방수백, 우비 착용으로 불쾌감을 줄이고 안전을 확보하세요.
반응형